2023 근로장려금 신청기준부터 금액 지급일까지 한 번에
지난 2022년도 상반기분 근로장려금은 예정되었던 날짜보다 약 3주가량 빠르게 지급되었습니다. 총 115만 가구 신청하여 약 5021억 원이 지급되었었는데요. 22년 세제 개편안 발표에서는 근로장겨름 지급금액을 10%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기존에 적용되었던 재산요건도 상당 부분 완화된다고 하니 기대해 볼 만한 소식이었는데요. 오늘은 근로장려금 제도부터 신청 기준, 금액, 지급일까지 한 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근로장려금이란?
근로자이지만 소득이 적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일정금액을 지급하고 일을 장려하고, 현금성 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 활동을 도와주는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. 2008년 첫 근로장려금 시행 이후,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조건 충족 시 신청하고 있는 제도인데요. 대표적인 취업 장려 정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023년 지급분은 10% 증액될 예정입니다. 정확한 금액은 아래 표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근로장려금 최대 지급액 | ||
가구 형태 | 2022년 | 2023년 (1월 1일이후 신청분부터 적용) |
단독 가구 | 150만 원 | 165만 원 |
홑벌이 가구 | 260만 원 | 285만 원 |
맞벌이 가구 | 300만 원 | 330만 원 |
근로장려금 최대 지급 금액 약 10% 증액되었습니다. 기획제정부 입장으로는 물가 상승률과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지원금이 늘어났다고 합니다. 적게는 15만 원 ~ 30만 원까지 지원금액이 늘어났으니 조건이 충족되시는 신청하는 게 이득이겠죠?
만약 부부 중 한명이 프리랜서 활동 중이라면 부부모두 소득이 있다 하더라도 둘 중 한 명의 총급여액이 300만 원 이하라면 홑벌이 가구로 적용된다는 점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신청기준
소득 요건
구분 | 단독가구 | 홑벌이가구 | 맞벌이가구 |
총 소득 기준 금액 | 2.200만 원 미만 | 3.200만 원 미만 | 3.800만 원 미만 |
최대 지급액 | 150만 원 | 260만 원 | 300만 원 |
가구 요건
-단독 가구 - 1인가구
-홑벌이 가구 - 배우자 및 부양가족이 있는 외벌이 가구
-맞벌이 가구 - 신청인과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00만 원 이상인 맞벌이 가구
재산 요건
지난해 까지 2억 원 미만 이어야 했으나 2023년 2.4억 원 미만으로 바뀌었습니다. 주택, 토지, 건축물, 스용차, 전세금, 금융자산 등 합계액으로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. 또한 재산 합계액이 1.7억 원 미만일 경우 100% 근로장려금이 지급되지만 1.7억 원 이상 2.4억 원 미만일 경우 50% 감액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하지만 위 조건들을 모두 충족한다고 해도, 대한민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지 않거나, 신청인 또는 배우자가 전문직(의사, 변호사, 법무사, 회계사 등)에 종사하고 있을 경우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에서 제외됩니다.
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및 지급일
구분 | 신청 기간 | 지급일 |
22년 정기 | 2023년 5월 1일 ~ 2023년 5월 31일 | 2023년 9월 중 |
22년 하반기 | 2023년 3월 1일 ~ 2023년 3월 15일 | 2023년 6월 중 |
23년 상반기 | 2023년 9월 1일 ~ 2023년 9월 15일 | 2023년 12월 중 |
만약 23년도 9월 1일부터 9월 15일 사이 신청했다면 2023년 12월 중에 산정액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이외에도 기한 후 신청 제도가 있는데요. 기한 후 신청을 통해 근로장려금을 신청하면 지급금액 10%가 감액되는 불이익이 있으니 이왕이면 정기 신청기간에 신청하는 것이 좋겠죠?
근로장려금 신청방법
홈택스 홈페이지 접속 후 복지이음 -> 근로, 자녀 장려금으로 들어가서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.
끝맺음
정부지원제도는 알아뒀다가 신청하는 게 이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신청조건은 재산, 소득조건, 가구 유형 세 가지인데요. 이 자격요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. 지원금도 10%로 증액되고, 재산 요건도 완화되었기 때문에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네요. 도움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. 글 마치겠습니다.
'재테크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뉴미디어 SNS 유튜브, 틱톡, 숏폼의 무분별한 광고노출의 문제점 그리고 미래에 다가올 대세 플랫폼은? (0) | 2023.02.13 |
---|---|
2023년 부모급여 지원금 확인 및 신청 방법 (0) | 2023.02.12 |
전입신고 하는 법 확정일자 받는 법 5분이면 OK (0) | 2023.02.10 |
제주도 렌트카 할인 꿀팁 (0) | 2023.02.09 |
중동호흡기증후군(MERS-Cov) 메르스 증상, 전파, 예방, 발생 현황,대처 (0) | 2023.02.07 |
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과제 한국사의이해 연보와 자서전 쓰기 (1) | 2023.02.06 |
국민연금 수령나이 인상되나? 고갈문제부터 수령액 총정리 (0) | 2023.02.05 |
일본 역사상 최악의 고고학 조작사건 사기꾼 후지무라신이치 (0) | 2023.02.04 |
댓글